자주 찾아보는 피검사 용어를 대략적으로 정리해봤는데 여기저기 인터넷으로 찾아본 자료들이라 틀린 내용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.
25-Hydroxycalciferol / Vitamin D3 / 25-OH-D3 |
비타민 D3 |
신체 내의 비타민 D 영양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지표로 사용 |
정상범위 초과: 신장, 심장, 폐, 혈액 등에 칼슘이 축적되어 손상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음 |
정상범위 미만: 구루병, 골연화증, 골절, 골다공증, 우울증 등의 위험 가능성이 높아짐 |
25-OH vit D Total |
총 25-하이드록시 비타민 D / 총 칼시페디올 |
비타민 D가 체내에 들어가 간에서 생성되는 영양소로 비타민 D의 영양상태와 골다공증 지표로 사용 |
정상범위 초과: 신장, 심장, 폐, 혈액 등에 칼슘이 축적되어 손상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음 |
정상범위 미만: 구루병, 골연화증, 골절, 골다공증, 우울증 등의 위험 가능성이 높아짐 |
A/G Ratio |
알부민과 글로불린의 비율 |
정상범위 초과: 유전전인 결함이나 백혈병 가능성이 있음 |
정상범위 미만: 간기능 장애, 신장질환, 자가면역질환 가능성이 있음 |
Abnormal Lymphocyte |
비정상림프구 |
말초혈액검사에서는 잘 발견되지 않으며 검출 시 바이러스 감염 가능성 있음 |
AFP (Alpha-Fetroprotein) |
알파페토프로테인 |
간암세포에서 만들어지며 간암 및 생식 세포 종양의 선별검사에 이용 |
정상범위 초과: 간암, 감염, 간경변, 난소종양, 고환종양 등의 가능성 있음 |
Albumin / ALB |
알부민 |
간에서 만들어져 혈액에 저장되는 단백질로 간기능을 표시하는 지표 중 하나 |
정상범위 초과: 설사, 구토 발생 가능성 있으며 또는 탈수 상태거나 과영양 상태에서 수치가 상승할 수 있음 |
정상범위 미만: 간기능 장애, 신장질환, 영양실조 가능성이 있음 |
ALP / Alkaline Phospatase |
알칼리인사분해효소 |
뼈와 간 조직에서 일차적으로 만들어지는 효소 |
정상범위 초과: 간염, 갑상선항진, 부갑상선항진, 담도 문제, 담석 등의 가능성 있음 |
정상범위 미만: 구루병, 골연화증, 골다공증 등 가능성 있음 |
ALT(Alanine Aminotransferase) / SGPT |
알라닌아미노전달효소 |
간세포 내에 많이 존재하는 효소로 간기능검사 지표로 사용 |
정상범위 초과: 간경화, 담즙 정체, 황달 가능성 있음 |
Amylase / AMYL / Total Amylase |
아밀라아제/총아밀라아제 |
녹말을 당으로 분해하는 효소로 췌장과 침샘에서 주로 분비되며 췌장질환 진단을 위한 검사항목 |
정상범위 초과: 췌장염, 췌장관 폐쇄, 신장질환 등의 가능성 있음 |
정상범위 미만: 큰 의미 없음 |
ANC / Absolute Neutrophil Count |
절대호중구수 |
백혈구의 한 종류인 호중구의 수치로 감염, 염증, 백혈병으로 인해서 변화할 수 있음 |
정상범위 초과: 염증 가능서 있음 |
정상범위 미만: 감염 위험성 높음 |
Anion gap |
음이온 차이 |
혈액의 전해질 불균형 진단 |
정상범위 초과: 탈수, 설사를 보이는 대사성 산증, 신장질환, 당뇨 가능성 있음 |
정상범위 미만: 신장 문제, 심장병, 암 가능성 있음 |
Anti-CCP (anti-cyclic citrullinated peptide antibody) |
항 CCP 자가항체 |
미래 예측 가능한 관절변형 지수로 류마티스 관절염 조기 진단에 사용 |
정상범위 초과: 류마티스 관절염 가능성 있음 |
Anti-HBc(EIA) |
B형간염핵심항체 |
B형 간염의 과거이력을 나타냄 |
양성: HBSAg, Anti-HBS 모두 음성일 경우 이전 B형 간염에 걸렸다가 회복되었을 수도 있으며 또는 급성으로 간염에 걸린 후 회복기 중 아직 항체가 생성되지 않은 경우/ 만성보균자일 가능성 있음. |
Anti-HBs(CLIA) |
B형간염표면항체 |
음성: 면역이 형성되어 있지 않음 |
양성: 면역이 형성되어 있음 |
ASLO (Antistreptolysin O) |
항스트렙토라이신 O |
용련균감염증의 혈청학적 검사를 하는 진단에 사용 |
정상범위 초과: 급성류마티스열, 급성사구체신염, 성홍열, 편도선염, 아나팔락토이드자반병 등의 가능성 있음 |
AST(Aspartate aminotransferase) / SGOT |
아스파르테이트아미노전달효소 |
간세포뿐만 아니라 심장, 신장, 뇌, 근육 세포에도 존재하는 효소로 검사하며 간세포나 심장세포 등에 손상이 발생할 경우 농도가 상승 |
정상범위 초과: 간염, 간경화, 지방간, 황달, 근육 손상, 심근경색 등의 가능성 있음 |
정상범위 미만: 큰 의미 없음 |
Atypical Lymphocyte |
비전형림프구 |
비정상 세포로 말초혈액 검사에서 잘 검출되지 않으며 검출 시 바이러스나 세균에 감염되었을 가능성 있음 |
Band Form |
미성숙 백혈구 |
Band Neutrophil / Band Cell |
간상핵구 |
미성숙한 호중구로 말초혈액 검사에서 5%이상 검출될 경우 급성 세균감염으로 판단 가능 |
Basophils / WBC-Baso |
호염구 / 호염기성백혈구 |
5 가지 백혈구 중 하나로 알레르기 및 항원에 대한 반응 |
정상범위 초과: 알레르기 반응, 궤양성대장염, 백혈병, 만성감염 등의 가능성 있으며 또는 음식에 대한 과민반응, 방사선 치료 중에도 수치가 증가할 수 있음 |
Bilirubin Total / Total Bilirubin / TBIL |
총 빌리루빈 |
간기능, 황달을 검사하는 요소 중 하나로 간 기능이 저하되어 빌리루빈이 해독되지 못하거나 폐색성 황달로 담즙이 역류하면서 혈액 속 빌리루빈이 넘쳐나와 수치가 상승하며 피부가 노랗게 변화 |
정상범위 초과: 간질환, 간암, 황달, 악성빈혈 등의 가능성이 있음 |
Blast Cell / Blast |
아세포 / 모세포 / 모구 |
미분화된 세포로 검사시 아세포가 발견되면 혈액암일 가능성 있음 |
BUN (Blood Urea Nitrogen) |
혈중뇨소질수 |
단백질 대사로 생기는 최종 생산물로 간에서 생성되어 신장에서 배출, 따라서 신장기능을 검사하는 항목 |
정상범위 초과: 신장, 간, 심장질환, 요도 폐쇄, 쇼크, 탈수, 영양불량 등의 가능성이 있음 |
정상범위 미만: 간 기능 장애 가능성 있음 |
Ca / Calcium |
칼슘 |
정상범위 초과: 신장질환, 종양 가능성 있음 |
정상범위 미만: 부갑상선기능항진증 가능성 있음 |
CA-19-9 (Carbohydrate Antigen 19-9) |
소화계 암 진단에 사용되는 종양표지자 |
정상범위 초과: 췌장암, 담도암, 대장암, 위암 등의 가능성 있음 |
CA-125 |
난소암을 유발하는 세포 및 다양한 세포에서 생성하는 단백질로 난소암 진단에 사용 |
정상범위 초과: 난소암, 자궁내막암, 췌장암, 폐암, 간안 등의 가능성 있음 |
Calculated LDL (Low Density Liporotein) |
계산된 LDL |
실제 LDL 콜레스테롤보다 약 10% 정도 낮음 |
CEA (Carcinoembryonic antigen) |
태아성암항원/암종배아항원 |
대표적인 종양지표자 |
정상범위 초과: 대장암, 췌장암, 위암, 폐암, 만성 췌장염, 소화성궤양, 신부전, 간암 등의 가능성 있음 |
Cholesterol Total / Total Cholesterol / TC |
총콜레스테롤 |
혈청에 포함된 콜레스테롤의 총량 |
정상범위 초과: 고지혈증, 당뇨병, 갑상선 기능저하증, 지방간, 만성췌장염 등의 가능성 있음 |
정상범위 미만: 중증간질환, 갑상선기능항진증, 만성빈혈, 염증 등의 가능성 있음 |
CK-MB (Creatime Kinase Myocardial Band) |
심장형 크레아틴키나제 |
크레아틴 키나아제(CK, Creatine Kinase)의 동종효소로 주로 심장근육에서 발견되며 심장질환 검사에 사용 |
정상범위 초과: 만성근육질환, 신장손상, 심장근 손상 등의 가능성 있음 |
Cl (Chlorine) |
염소 |
나트륨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 |
정상범위 초과: 탈수, 만성신장염 등의 가능성 있음 |
정상범위 미만: 구토, 부신피질기능저하증, 급성신부전 가능성 있음 |
CPK (Creatine Phosphokinase) / CK (Creatine Kinase) |
크레아틴 포스포키네이스 / 크레아틴키나제 |
크레아틴과 크레아닌인산을 합성하는 효소로 근육의 수축을 도와주며 심장, 뇌, 골격근 등에서 발견되며 따라서 골격근과 심근질환 진단에 사용 |
정상범위 초과: 염증, 심근경색, 심근염, 다발성 근염, 갑상선기능저하증 등의 가능성 있음 |
정상범위 미만: 갑상성기능항진증 등의 가능성 있음 |
Creatinine / Cr |
크레아티닌 |
신장 기능을 판단하는 기초검사 항목 |
정상범위 초과: 급성 신부전, 만성신부전, 폐쇄성요로병증 등의 가능성 있음 |
정상범위 미만: 큰 의미를 가지지 않음 |
CRP (c-reactive protein) |
C 반응성 단백질, 급성염증수치 |
정상범위 초과: 염증성질환, 조직손상, 감염, 만성염증 등의 가능성 있음 |
CTx (C-Telopeptide of collage cross link, C-Terminal Telopeptide of Type 1 collage |
골흡수표지자 |
골다공증과 관련된 수치로 혈액에서 뼈 파괴와 관련있는 콜라겐 분절인 CTx의 수치를 측정 |
정상범위 초과: 향후 골소실률이 증가, 퇴행성관절염 진행 촉진, 골절 위험도 증가 가능성 있음 |
Direct Bilirubin |
직접빌리루빈 |
단백질과 결합된 빌리루빈 |
정상범위 초과 : 간장애, 담관염, 폐쇄성 황달 등의 가능성 있음 |
Eosinophils / WGC-Eos |
호상구 |
5 가지 백혈구 중 하나로 외부병원생물체(기생충)의 감염으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 |
정상범위 초과: 기생충 감염, 알레르기, 골수 질환 등의 가능성 있음 |
ESR (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) |
적혈구 침강속도 |
한 시간 내 적혈구가 가라앉는 속도로 적혈구의 침강속도로 만성염증의 활동성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로 사용되며 CRP보다 변화 반응속도가 느림 |
정상범위 초과: 체내 염증이 많음 |
estimated GFR / eGFR (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) |
추정사구체여과율 |
크레아티닌 농도를 기반으로 계산하여 얻어진 사구체여과율로 신장기능 정도를 보여주며 90을 초과할 경우 정상기능 의미 |
정상범위 미만: 신장기능에 이상이 있을 가능성 있음 |
Free T4 / FT4 (Tyroxine) |
유리티록신 |
T4 중에서 혈액 내 단백질과 결합하지 않은 호르몬 |
정상범위 초과: 갑상선기능저하증 |
정상범위 미만: 갑상선기능항진증 |
gamma-GTP / r-GTP (gamma Glutamyl Transpeptidase) |
감마-글루타밀 전이효소 |
간 세포 내에 존재하는 효소로 AST, ALP, ALT 등과 함께 정상범위 수치를 초과할 경우 으며 며 수치가 낮아도 큰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님 |
정상범위 초과: AST, ALP, ALT 등과 함께 정상범위 수치를 초과할 경우에는 지방간, 간질환, 만성간염, 간경변, 간암 등의 가능성이 있으며 gamma-GTP만 초과할 경우에는 갑상선기능항진증, 신부전증, 췌장염, 당노볌, 류마티스관절염등의 가능성도 있음 |
정상범위 미만: 큰 의미 없음 |
Globulin / GLOB |
글로불린 |
면역과 관련된 중요한 단백질로 면역 단백질이라고도 하며 총단백질에서 알부민 수치를 뺀 값 |
만성염증의 경우 알부민은 거의 변화가 없으나 글로불린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여 A/G 비 감소 |
정상범위 초과: 간기능 장애, 악성 간종양, 출혈 등의 가능성어 있음 |
정상범위 미만: 선천적으로 글로불린을 잘 못만드는 병이 있을 가능성 있음 |
총단백질에서 알부민 수치를 뺀 수치로 정상범위 값보다 높을 경우 간기능 장애, 악성 간종양, 출혈 등의 가능성어 있으며 수치가 낮을 경우 선천적으로 글로불린을 잘 못만드는 병이 있을 가능성도 있으나 다른 검사 결과와 비교해서 판단해야 함 |
Glucose |
포도당 |
혈중 당농도를 측정하는데 사용 |
정상범위 초과: 당뇨, 췌장염 등의 가능성이 있음 |
정상범위 미만: 췌장질환, 간질환, 갑상선기능저하증 가능성이 있음 |
HBs Ab |
B형간염표명항체 |
음성 (Negative): 면역이 형성되어있지 않음 |
양성 (Positive): 면역이 형성되었음 |
HBs Ag |
B형간염표면항원 |
음성 (Negative): B형 간염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았음 |
양성 (Positive): B형 간염바이러스에 감염되었음 |
Hct (Hematocrit) |
적혈구 용적치, 적혈구 용적 백분율 |
빈혈검사에 주로 이용 |
정상범위 초과: 혈전 생성 가능성 증가 |
정상범위 미만: 빈혈, 출혈 가능성 있음 |
HCV Ab |
C형간염항체 |
음성 (Negative): 감염되지 않음 |
양성 (Positive): 감염 가능이 있으므로 추가 검사 필요 |
HDL 콜레스테롤 (High Density Liporotein Cholesterol) |
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|
일명 좋은 콜레스테롤로 나쁜 콜레스테롤인 LDL을 체외로 배출시킴 |
정상범위 초과: 심혈관 질환 위험 감소 |
정상범위 미만: 심혈관 질환 위험 증가 |
HemoglobinA1c / HbA1c |
당화혈색소 |
혈당이 증가되어 적혈구에 있는 헤모글로빈에 포도당이 붙어 있는 상태로 장기간의 당뇨병 진단에 이용 |
정상범위 초과: 당뇨의심 |
Hgb / Hb (Hemoglobin) |
헤모글로빈 |
적혈구에 있는 색소 단백질로 산소와 결합하여 산소를 운반 |
정상범위 미만: 빈혈, 출혈, 철 결핍을 의미 |
HIV 항체 |
면역결핍 바이러스 항체 |
양성: 에이즈 감염 |
음성: 에이즈 미감염 |
Immature Lymphocyte |
미성숙 림프구 |
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에서 보이는 비정상적인 백혈구 |
Immature Monocyte |
미성숙 단백구 |
K (Kalium) |
칼륨 / 포타슘 |
정삼범위 초과: 신부전, 부신피질기능저하증, 탈수, 요도 폐쇄 등의 가능서 있음 |
정상범위 미만: 구토, 설사, 갑상성기능항진증 등의 가능성 있음 |
KOH Mount (Potassium(K), Oxygen(O), Hydrogen(H)) |
KOH 검사 |
진균감염 검사로 수산화칼륨 용액을 검사체에 가한 후 현미경으로 균이 있는지 확인 |
LDH (Lactate Dehydrogenase) |
젖산탈수소효소 |
신장, 심장, 골격, 췌장, 비장, 간, 폐적혈구 순으로 분포되어 있는 효소 |
정상범위 초과: 폐쇄성 황달, 간경변증, 만성신질환, 근위축증, 악성빈혈, 폐경색 등의 가능성 있음 |
정상범위 미만: 큰 의미 없음 |
LDL 콜레스테롤 (Low Density Liporotein Cholesterol) |
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|
일명 나쁜 콜레스테롤로 혈관벽에 쌓여 혈관이 좁아질 수 있음 |
정상범위 초과: 동맥경화증, 고지혈증, 심근경색, 뇌졸증 등의 가능성 있음 |
Lymphocyte / Lym / WBC-Lymph |
림프구/임파구 |
5 가지 백혈구 중 하나로 바이러스와 같은 외부 침입체와 결합하여 이들을 몸 밖으로 제거하는 역할 |
정상범위 초과: 바이러스 감염, 백혈병, 골수암 등의 가능성 있으며 방사선 치료 중에도 상승 가능 |
정상범위 미만: 루푸스와 같은 자기면역질환, AIDs 같은 면역성결핍질환 가능성 있음 |
Ma / Magnesium |
마그네슘 |
정상범위 초과: 칼슘과 마그네슘 비율을 검토하여 영양 부족 고려 필요 |
정상범위 미만: 식욕부진, 구토, 설사, 신장질환 가능성이 있음 |
MCH (Mean Corpuscular Homoglobin) |
평균적혈구혈색소량 |
적혈구 한 개당 들어있는 평균 헤모글로빈 농도 |
정상범위 초과: 비타민 B12나 엽산 결핍으로 인한 빈혈 가능성 있음 |
정상범위 미만: 철분 결핍성 빈혈 가능성 있음 |
MCHC (Mean Corpuscular Hemolgobin Concentration) |
평균적혈구혈색소량농도 |
적혈구 내에 있는 헤모글로빈의 농도 |
정상범위 미만: 저색소성 빈혈, 철분결핍성 빈혈 가능성 있음 |
MCV (Mean Corpuscular Volume) |
평균 적혈구 용적 |
적혈구 1개의 평균용적 |
정상범위 미만: 철분 부족 가능성 있음 |
Metamyelocyte |
후골수구 / 후골수세포 |
미성숙한 백혈구의 성분으로 골수 내에 존재해야하며 말초 혈액에서 검출될 경우 골수기능에 이상이 생긴 것이기 때문에 백혈병 의심 |
Monocyte / WBC-Mono / Mono |
단백구 / 단핵구 / 단구 |
5 가지 백혈구 중 하나로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나 외부물질 등을 먹어치우는 역할 |
정상범위 초과: 감염, 염증, 급성백혈병 발생했을 가능성 있음 |
MPV (Mean Platelet Volume) |
평균혈소판용적 |
혈소판 한 개의 평균적인 크기를 측정하는 검사 |
정상범위 미만: 쉽게 출혈 발생 가능 |
Myelocyte |
골수구 / 골수세포 |
미성숙한 백혈구로 골수 내에 존재해야하며 말초 혈액 검사에서 검출될 경우 골수에 이상이 생긴 것(백혈병 가능성 있음) |
Na (Natrium, Sodium) |
나트륨 / 소디움 |
정상범위 초과: 탈수, 당뇨 등의 가능성 있음 |
정상범위 미만: 구토, 설사, 신장을 통한 소실, 부신피질기능저하증 등의 가능성 있음 |
Neutrophils / Neut |
호중구/호중성백혈구 |
5 가지 백혈구 중 하나로 세균 및 곰팡이 감염을 방어하여 면역과 가장 관련이 있는 백혈구 |
정상범위 초과: 염증질환, 급성감염, 종양, 조직괴사 등의 가능성 있음 |
정상범위 미만: 면역질환, 골수질환, 심한 감염 등의 가능성 있음 |
Nucleated RBC / Nucleated Red Blood Cells / NRBC |
유핵적혈구 |
정상 적혈구가 되기 바로 직전의 핵이 있는 적혈구로 말초혈액검사에서 잘 검출되지 않으며 용혈성 빈혈, 백혈병, 암의 골수 전이 등이 발생할 경우 검출될 수 있음 |
P1NP (Procollagen Type 1 N-terminal Propetide) |
골형성표지자 |
뼈모세포에서 생성되며 콜라겐 및 뼈형성의 속도를 반영하며 골다공증을 진단하기보다는 추적검사에 이용 |
PCT (Procalcitonin) |
프로칼시토닌 |
정상범위 초과: 세균감염, 폐혈증, 악성종양 등의 가능성 있음 |
정상범위 미만: 큰 의미없음 |
PDW (Platelet Distribution Width) |
혈소판분포계수 |
혈소판의 크기가 얼마나 일정한가를 판단하는 수치 |
정상범위 초과: 빈혈, 백혈병 등의 가능성이 있음 |
정상범위 미만: 골수기능이 떨어졌을 가능성 있음 |
Pi (Phosphorus) / PHOS |
인 |
골형성, 세포막 형성 등에 관여 |
정상범위 초과: 신부전, 골질환, 갑상선기능항진증, 응고계 이상 등의 가능성이 있음 |
정상범위 미만: 구루병, 비타민 D 결핍 등의 가능성 있음 |
Plasma Cell |
형질세포 |
백혈구의 하나인 림프구가 변형된 특수한 세포로 정상혈액중에는 존재하지 않으며 만성염증소에 많은 수가 나타남. |
Platelet / PLT |
혈소판 |
혈액 속 혈소판 수치로 지혈과 관계있음 |
정상범위 초과: 혈액이 심하게 응고되고 만성염증에 시달릴 수도 있음 |
정상범위 미만: 지혈 및 염증 치료가 잘 되지 않을 수 있음 |
P-LCR (Platelet Larger Cell Ratio) |
혈소판거대세포비율 |
정상범위 초과: 염증, 빈혈, 림프종, 혈전증 등의 가능성이 있음 |
정상범위 미만: 자가면역질환, 출혈 등의 가능성 있음 |
Polysegmented Neutrophil |
다중분엽호중구 |
정상범위 초과: 세균 감염, 악성종양, 외상 가능성이 있음 |
정상범위 미만: 장티푸스 같은 세균성 감염, 바이러스성 감염, 악성 빈혈 가능성 있음 |
Promonocyte |
전단핵구 |
말초혈액 검사에서 잘 검출되지 않고 높은 양이 검출될 경우 혈액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 있음 |
Promyelocyte |
전골수구 |
골수구 또는 과립백혈구(호중구, 호산구, 호염기구)로 발달한 아메바 모양의 골수세포로 검사 시 전골수구가 발견되면 혈액암일 가능성 있음 |
Protein Total / Total Protein / PT / TP |
총 단백질 (알부민과 글로불린 포함) |
혈청 총단백량으로 알부민과 글로불린의 총합이며 전반적인 영양 상태 확인 또는 간, 신장 질환을 선별하기 위해 사용 |
정상범위 초과: 탈수증, 만성염증, 바이러스성 간염, 골수 질환 가능성 있음 |
정상범위 미만: 간, 신장, 염증성 장 질환 가능성이 있음 |
PTH (Parathyroid Hormone) |
부갑상선호르몬 |
부갑상선샘에서 분비되어 혈중 칼슘을 조절하는 호르몬 |
정상범위 초과: 고칼슘증, 방광결석, 신장결석, 골다공증, 근육통증, 변비, 구토, 갈증 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 |
정상범위 미만: 저칼슘증, 복통, 근육경련 등이 발생할 가능성 있음 |
RA(Rheumatoid) / RF(Rheumatoid Factor) |
류마티스 인자 |
혈액에서 발견되는 자가면역항체 |
정상범위 초과: 류마티스 관절염일 가능성이 있지만 꼭 그런 것은 아니며 수치가 정상범위 내에 있다고 해서 류마티스 관절염이 아니라고도 할 수 없음 |
RBC (Red Blood Cell) |
적혈구 수 |
혈액 내 적혈구 수를 파악하는 검사 |
정상범위 미만: 빈혈 발생, 적혈구 수가 증가하면 두통, 어지러움 등이 발생 가능 |
RDW (Red Cell Distribution Width) |
적혈구 크기 분포 |
적혈구의 크기 분포 정도를 측정하는 검사 |
정상범위 초과: 철결핍성 빈혈 가능성 있음 |
Reactive Lymphocyte |
반응성림프구 |
말초혈액검사에서 잘 검출되지 않으며 검출될 경우 바이러스 감염 가능성 있음 |
RETICS (reticulocytes) |
세망적혈구 |
미생숙한 적혈구로 재생성 빈혈 진단 |
정상범위 초과: 출혈, 특정 유형의 빈형 가능성 있음 |
정상범위 미만: 재생불량성 빈형 가능성 있음 |
RF(Rheumatoid Factor) / RA(Rheumatoid) |
류마티스 인자 |
혈액에서 발견되는 자가면역항체로 정상범위 수치를 초과할 경우 |
정상범위 초과: 류마티스 관절염일 가능성이 있지만 꼭 그런 것은 아니며 또한 정상범위라고 해서 류마티스 관절염이 아닌 것도 아님 |
Seg. Form (Segmented Form) |
분절백혈구 / 성숙한 백혈구 |
Segmented Neutrophil |
성숙한 호중구 |
T3 (Triiodothryronine) |
트리요오드티로닌 |
가장 강력한 갑상선흐로몬으로 체온이나 심장박동수, 성장 등 체내의 모든 과정에 관여 |
정상범위 초과: 갑상선기능항진증 |
정상범위 미만: 갑상성기능저하증 |
T4 (Thyroxin) |
테트라요오드티로닌 |
갑상선호르몬 중의 하나로 갑상선기능을 알아보기 위해 이용 |
정상범위 초과: 갑상선기능항진증 |
정상범위 미만: 갑상성기능저하증 |
Total Amylase / Amylase |
총아밀라아제/아밀라아제 |
녹말을 당으로 분해하는 효소로 췌장과 침샘에서 주로 분비되며 췌장질환 진단을 위한 검사항목 |
정상범위 초과: 췌장염, 췌장관 폐쇄 등의 가능성 있음 |
정상범위 미만: 큰 의미 없음 |
Total Bilirubin / Bilirubin Total / TBIL |
총 빌리루빈 |
간기능, 황달을 검사하는 요소 중 하나로 간 기능이 저하되어 빌리루빈이 해독되지 못하거나 폐색성 황달로 담즙이 역류하면서 혈액 속 빌리루빈이 넘쳐나와 수치가 상승하며 피부가 노랗게 변화 |
정상범위 초과: 간질환, 간암, 황달, 악성빈혈 등의 가능성이 있음 |
Total Calcium / TC |
총칼슘 |
정상범위 초과: 부갑상선항진증, 악성종양, 결핵, 과도한 비타민 D 섭취, 신부전 등의 가능성이 있음 |
정상범위 미만: 췌장염, 칼슘섭취 부족, 마그네숨 결핍 등의 가능성 있음 |
Total Cholesterol / TC |
총콜레스테롤 |
혈청에 포함된 콜레스테롤의 총량 |
정상범위 초과: 고지혈증, 당뇨병, 갑상선 기능저하증, 지방간, 만성췌장염 등의 가능성이 있음 |
정상범위 미만: 중증간질환, 갑상선기능항진증, 만성빈혈, 염증 등의 가능성 있음 |
Total CO2 |
총이산화탄소 |
혈액 내에서 중탄산염으로 존재하는 이산화탄소 양을 측정해서 전해질이나 산-염기 불균형을 진단 |
정상범위 초과: 심한 구토, 폐질환, 쿠싱 증후군, 대사성 알카리증 등의 가능성 있음 |
정상범위 미만: 만성 설사, 신장 질환, 당뇨병 케톤산증, 대사선 산증, 아스피린 과용 등의 가능성 있음 |
Total Protein / Protein Total / PT / TP |
총 단백질 (알부민과 글로불린 포함) |
혈청 총단백량으로 알부민과 글로불린의 총합이며 전반적인 영양 상태 확인 또는 간, 신장 질환을 선별하기 위해 사용 |
정상범위 초과: 탈수증, 만성염증, 바이러스성 간염, 골수 질환 가능성 있음 |
정상범위 미만: 간, 신장, 염증성 장 질환 가능성 있음 |
Triglycerides / TG |
트리글리세라이드 |
체내에서 가장 흔한 유형의 지방으로 중성지방 |
정상범위 초과: 심혈관계 질환, 뇌질환 등의 질병 발생확률이 높아짐 |
정상범위 미만: 영양결핍 가능성 있음 |
Troponin I |
트로포닌 아이 |
골격계와 심근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로 심장에서만 발견되며 심근경색 진단에 이용 |
정상범위 초과: 심근경색, 심근세포 손상, 심근염, 신부전 등의 가능성 있음 |
TSH (Thyroid Simulation Harmone) |
갑상선자극호르몬 |
뇌하수체에서 분비되어 갑상선을 자극하여 갑상선 호르몬 분비를 촉진하는 호르몬 |
정상범위 초과: 갑상선기능저하증 |
정상범위 미만: 갑상선기능항진증 |
Uric Acid |
요산 |
간에서 대사되어 생기는 최종 분해 산물로 콩팥을 거쳐서 소변으로 배설 |
정상범위 초과: 신부전, 통풍, 백혈병 가능성 있음 |
정상범위 미만: 큰 의미 없음 |
WBC |
백혈구 수치 |
정상범위 초과: 감염 의심. |
정상점위 미만: 면역력이 떨어진 것일 수 있음 |
WBC-Mono / Monocyte / Mono |
단백구 / 단핵구 / 단구 |
5 가지 백혈구 중 하나로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나 외부물질 등을 먹어치우는 역할을 하며 말초혈액 검사에서 단백구가 검출될 경우 감염, 염증이 발생했을 가능성 있음. |
구글 애드센스 수익금 지급 신청 & 문제 해결 (우체국) (0) | 2022.01.18 |
---|---|
와이파이 사라짐(Windows 10) (0) | 2021.04.23 |
티스토리 저품질 문제 해결 (0) | 2020.07.25 |
스파클 빈병 회수 서비스 이용기 (0) | 2020.04.17 |
처방전 약값 (0) | 2020.03.26 |
댓글 영역